하늘이 하도나 고요하시니
난초는 궁금해 꽃피는거라
내가 서정주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싯귀다.
내가 가지고 있는 두껍고 낡은 미당 시집의 뒷 표지에 그림으로 그려진 시 이기도 하다.
글의 제목은 까먹었다.
까먹었으나마나 볼 때마다, 생각할 때마다 어찌 해 볼 수 없는, 미치도록 좋아 죽겠는 싯귀이기도 하다.
더 할 것도 덜 할 것도 없는.
아니, 정직하게 말하자면 내 재주로는 더 할 수도 덜 할 수도 없는 것이겠지. 감히 어떻게 섣불리 첨한답시고.
사람의 눈으로 쓴 글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글의 매무새도 이렇듯 정방형의 결정체처럼 완벽할 수도 있구나.
글 쓸 때 귀신에 씌었거나 아니면 그가 아주 귀신이거나.
이 글을 볼 때마다 내 어릴 때 자라던 낡은 기와집 마당의 둥근 꽃밭에 오월 하순이면 노란 연두색으로 삐죽하게 솟아오르던 난초의 새 순을 생각한다. 간 밤에 비 내려 검게 젖은 땅을 숨막히게 데우던 늦봄의 뜨신 볕도 생각난다. 그 나른하게 녹아내리는 봄 볕 가운데 하얗게 풀 선 바지저고리 입으시고 몰라도 백 개는 넉넉히 넘어서던 갖가지 크고 작은 화분을 자식들보다 어쩌면 더 애지중지 하시면서 철 맞춰 때 맞춰 심고 물 주고 매만지던 아버지의 모습도 생각나지만,
난초 따위가 무슨 생각이 있어 하늘을 궁금해하며
궁금하다한들 제까짓 것들이 무슨 재주로 때 맞추어 꽃을 피운다는 건지?
말장난이지. 허구에다가. 염병이지.
말 몇 마디로 사람의 눈을 현혹하여 마음을 빼앗는 사술이기도 하고.
그러기에 말 장난이며 글의 유희에 마음 빼앗기고 일희일비하는 나같은 종자들은 아마도 태생이 썩 허전하거나 누추하여 그러는지도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그래도 좋은 건 어쩔 수가 없는 게 기분이 더럽다는 거다.
‘니 마음이 구리니 그따위 글을 좋아하는 것이니라’ 꾸짖는다면 감수해야지.
다만 당신이 보아 좋지 않았으니 이것 좋아하는 놈은 모두 쥐길놈이다, 도끼 날 세우고 우격다짐만은 없었으면 한다.
미당을 생각할 때 저 난초가 먼저 생각나는 것은 그래도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미당의 국물을 조금만 더 기울여 따뤄내면 그 아래 시커먼 건데기 ‘오장 마쓰이 송가’도 드러난다.
몇 줄 읽다 보면 더 읽고 싶지 않을만큼 참 고약하다.
하지만 하늘이 내린 詩才는 그런 구린 이야기를 과연 어떻게 풀어 나갈까 궁금한 마음에 에라 그래 똥 한 번 밟았다 생각하고 읽어 내려가다 보면 아니나 다를까 기분 더럽다. 확 뜯어 발기고 싶어진다. 그런 마음이 들 적이면 으흠, 나같은 잡배에게도 허당한 것이나마 약간의 애국심 찌끄러기는 남아 있나 싶어 다소 안심도 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굳이 아세하는 것이 아니라 해서 미당의 글이라고 모두 좋아하는 것도 아니다.
최근의 글 대부분이 그저 그러하고 내가 호감을 가지는 벌거스럼하니 묘한 정서를 갖고 있는 이전의 글들도 그렇다고 하나같이 다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시건방진 말이지만 중간 쯤의 글들 몇몇에서는 서정주라는 자신의 이름에 기대어 대충 함부로 갈겨 쓴 것이 아닐까 의심 해 본 글들도 더러 있었다.
다른 이의 글 하나가 또 생각난다.
/화장터
몸 털고 선명하게 현신하는
한 켤레 신발
이 것은 미당의 글이 아니라 이전자전 소싯적 겁 없이 나잘났다 설치고 다니던 시절에 나랑 둘이서 콧구녕만한 찻집에서 詩展을 열었던 어느 시인의 싯귀다.
후에 내 글 몇 편과 남의 글 다수를 지 글인양 슬쩍 등쳐서 얼렁뚱땅 제 시집 속에 끼워 출판해버렸던 매우 괘씸한 엉터리 사이비 시인이다.
나 보다 연배는 훨씬 위였지만 그 일로 해서 이 천하에 본 데 없는 글도둑놈아 어쩌구 죽일 놈 살릴 놈 멱살잡이로 한 번 벅구를 떨었던 반갑잖은 사람. 뭐 지금은 죽었는지 살았는지 관심도 없고 관심 둬 봤자 잘 난 글 몇 개 가져가면 어떻고 던져주면 또 뭐 어때서.
아무튼 그 일 이후로 상종못할 망종이라 치부하고는 한 번의 눈길도 주지 않았고
그 따위 도둑질이나 일삼는 인간이 詩는 무슨 詩! 하고 내쳐버렸지만 저 우에 ‘화장터’라는 글만은 참 흉내내기 어려운 시각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저 글에 나타난 남다른 감수성만큼은 지금도 인정한다. 단, 베껴먹은 글이 아니라면.
서정주의 난초를 볼 때마다 겹치기로 생각나는 싯귀이기도 하다.
이래저래 안팎으로 비슷한 시각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 詩仙이라 불리고
또 다른 일각에서는 세에 빌붙어 동포를 팔아 먹은 개자식으로,
이런 제에미 순, 재활용도 못할 더러운 쓰레기 같은 늙은 개 취급을 받는 서정주를 싯줄 깨나 짓는답시고 또한 무조건 사랑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저 맨 위의 난초는 누가 뭐래도 정말 사랑한다.
글 맛도 맛이려니와 내 기억 속의 무엇인가를 건드려서 촉발시키는 저 끔찍한 감수성은 진저리가 나도록 무섭고 아름답다. 그래서 이런저런 생각하자면 안타깝고 아쉽고 부애나고 떨떠름하고 얄궂지.
돈 보고 부잣집에 팔려 갔다가 패가망신 소박데기로 쫓겨 온 옆집 이뿐이.
행실은 더러바도 얼굴 하나는 정말 끝내 줬는데.
나쁜 년, 이왕에 버릴 몸이면 나나 주지.
다소 비약이 될 수는 있겠으나 뭐 그런 마음 비슷한 거 아닐까 생각한다.
그 시절 세상에 매겨졌던 자신의 위치를 일찌감치 자각하고 미리 붓을 꺾었거나
택도 없는 강단이나마 버럭버럭 부려서 약간의 고초를 감내하였더라면.. 에구, 어림도 없는 아쉬움만 간당간당.
아쉬움이 있다는 것 부터가 서정주가 남긴 글에 대한 미련을 드러내는 것이기는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가 남긴 글에 비해 정작 그 자신은 제 시대의 시공에 대한 통찰이 치명적으로 어두웠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부족한 통찰력이 그의 말년이 오욕과 영예로 뒤범벅이 되어버린 단초가 아니었을까 그런 생각도 해 본다.
마쓰이 오장 송가가 쓰여졌던 1944년, 그것도 가미가제가 등장했을 무렵이면 이미 전세는 기울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으로 내 몰리고 있음을 어지간만 한 지성이라면 충분히 간파할 수 있었을 터인데도 말이지.
그게 아니라면 그 귀기서린 文才 이외에는 아주 귀와 눈이 어두웠던 박약한 인격이었거나.
보듬어 품자면 이 민족의 시커멓게 썩어 문드러진 근대사의 한 조각이 될 터이고
배척 하자면 매를 먼저 청하여 맞더라도 제 뒤에 섰는 청년 군상들을 생각해서라도 굳세게 이끌고 나아갔어야 했을... 젠장할.. 선각자로서의 자각은 조옷도 없는 노예 근성에 찌든 한 낱 재주꾼에 불과한 글쟁이일 뿐인 건지.
어느 누군가가 무심코 던진 화두 덕분에 오늘 하루 내내 그 생각이다.
글타. 미당인지 말당인지 하여간 더럽게 질긴 이름이다. 씹어도 씹어도 국물이 나오는...
그래서 김지하가 말했다는 인격과 글의 불일치에 대한 견해에 관한 한 나는 유보다.
맨 위에 쓴 난초처럼 어찌할 수 없이 아름다운 글을 보면 글 쓴 이가 누구이건 간에 그 글은 고스란히 박리되어 두둥실 떠오르는데 그걸 낸들 어쩌냐고.
그 인간의 생애는 용납 못하더라도 글은 글대로 아름다운데 어쩌란 말이냐고...
그렇다고 무슨 대의명분에 짓눌려서 흰 것을 검다하고 눙치고 넘어 갈 일도 아니잖은가 말이다.
제엔장, 밑도 끝도 없이 주절거리고 보니 또 회색분자가 되고야 말았다.
그래도 뭐, 하는 수 없는 잡배의 우거지 근성을 내 힘으로 어쩔 수 있나. 탱자탱자 드러누워서 조상 탓이나 하고 세월 보내는 거지 뭐.
하여간에 결과적으로 누군가가 뜬금없이 던진 화두에 대한 답장이 되고야 말았지만 도대체가 생겨먹은 쌍통이 안팎으로 동히 몹시 조악하여 그럴싸한 선문답은 커녕 억설만 개발새발 늘어놓은 꼴이 되고야 말았다. 모쪼록 어떤 꼴이든 민폐는 되지말아야 할 텐데.
20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