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발소며 여염 집이며 하다 못해 수학여행 기념품 연필꽂이에도 있었다.
그리고 이것과 비슷한 배경에 '인내는 쓰나 그 열매는 달다'도 있었고.
금언과 격언의 남발시대였을까.
지리산 기슭에서 반벌거숭이로 뛰어다니던 그 때 그 시절, 나는 '인내'라는 것이 무슨 식물 이름인줄 알았다.
식물 아니면 '그 열매'가 왜 나오겠냐는 말이지.
그리고 베토벤.
나는 이 쑤세미 머리의 베토벤이 그 때 그 시절의 이발소며 여염집 대청마루 한 가운데에 걸려 있어야 할 이유를 아직도 알지 못하며, 더우기나 아예 음악이나 예술 전반에 대해서는 완전 깡통이었던, 참 지지리도 공부하기 싫었던 사촌 형의 공부방에 이 베토벤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던 까닭은 대체 뭐였을까.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촉발시킨 첫 그림. 오늘도 무사히.
그 때 그 시절 급행버스 운전수 앞쪽 벼름박이나 택시 '다찌방'에는 거의 반드시 있었다.
멀미 냄새 기름 냄새 가득한 버스 앞유리창 벼름박에는 비로드에 노란 술 달아 흔들흔들 멋진 커튼까지 걸쳐놓고
그 한 가운데 쯤에는 반드시 오늘도 무사히... 특별한 이유는 없다.
어느 날 화장실에 앉아 뒤적거리던 해 묵은 오디오 잡지의 탐방기사 사진에서
아마도 그 집 안주인이 만들어 걸었을 것으로 보이는 스킬 자수의 이 그림을 보았고,
그리고 그 그림을 보는 순간 수십년을 휘돌아서 어릴 때 보았던 그 뽀얗고 예쁘게 생겼던 소녀의 기도가 괜히 다시 보고싶어져 안달이 났었지. 내가 이런 그림을 줏어다 모은다 했더니
뜬금없는 웬 박학다식한 안다이박사 왈,
그건 소녀가 아니라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사무엘의 기도하는 모습이며,
누구라더라, 거시기, 하여튼 유명한 서양화가의 그림이 원본이라드만,
하지만 그 말씀이야 말로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으로 유식한 말씀이지. 이 그림의 제목은 보시다시피 '오늘도 무사히'이며
이 그림의 주인공은 그 시절 한국의 고물 급행버스 운전사를 아버지로 둔 어여쁜 소녀였더라는 말씀이니
이런 엄연한 사실 앞에서 원본이 어떻고 구약성경이 어떻고
영국 화가 거시기며 다니엘이니 사무엘이니 개 풀뜯어먹는 소릴 말라는 말씀이야. 길을 막고 물어 봐 봐.
모사건 베껴 그렸건 네다바이를 해 먹었건 간에 어쨌든 이제 이 그림은 이 나라에서 만큼은 난공불락의 네오크라식이라니까.
그러게 참 벨일이다. 뜬금없이 이게 왜 보고싶었지?
구할 수 있다면 하나 구해서 우리집 벼름빡에 액자해서 걸어놓고싶구마는..
/2008년 2월 22일 강원도 정선 레일바이크 아우라지 역 부근에서/ 산판 같은 곳에는 이 물건이 더러 현역으로 남아있다는 말은 들었었다.
듣기는 들었으되 정말 살아 있는 이 물건을 직접 내 눈으로 목격했을 때의 생경스러움이란.
전설의 육발이.
6,70년대 먼지 자욱한 유년의 신작로를 주름잡던
아니, 거 참,
도무지 전설로만 떠돌아 그 사실을 확인 할 방법은 막연하되
어쨌든 들리는 소문에 그 힘이 참 무지막지하여 천하에 견줄 짐차가 없더라던 그 육발이.
이 물건이 아직도 남아있다는 것은
애초에 이걸 만든 양키들이 그만큼 잘 만들었다는 이야기인지
아니라면 육이오때부터 굴러 다녔다던 이런 고물딱지를 내다버리지 않고
수십년동안 죽어라고 고쳐 쓰고 있는 우리가 지독한 건지
혹,
그만큼 오래 굴려 먹어도 괜찮을만큼 썩 훌륭한 물건이란 것을
정작 육발이를 만든 저것들은 모르되 안목 깊은 우리만 알아 챈 것인지
짐승이 오래 살면 요물이 되고
물건이 오래면 도깨비가 된다던데
이제는 이 물건은 바야흐로 고물의 경계를 넘어서 골동품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하지만
글쎄 모르지.
간사하기 짝이없는 사람의 심사를 어떻게 믿어.
안그래도 수십년 굴러 먹다보니 이런저런 병통이 없지를 않을 것이니
어느 날 아침 뜬금없이 시동이 불통이라거나
아니래도 뭐 어쩌다 털털거릴 날이 없지는 않을 것이라
목에 땀내 나는 수건 두르고
그 팔뚝 한번 건장하게 굵은 쥔장 심기 사나운 날이면
짜증스러운 담배 연기 한 모금에 목숨이 간당간당 하다가
쥐도 새도 모르게 폐차장에 끌려가 납작하게 눌려질 지 누가 알아.
그나마 오래 된 쇳덩어리라고 아주 값나가는 미제 고물로 추켜 세워 줄 지도 모를 일이라고?
그 시대 한 두어번 타 본 기억으로만 남아있는 시발 택시는 또 어디 없는지.
하기야 인자는 정말 골동품 수집가가 아니라면 그게 택시로 남아 있을 턱이야 없지.
어쨌든 이 숨차고 어지럽게 달려 가던 세월이 살짝 비껴 간 어느 한 귀퉁이
누가 오래 된 세월을 저리 붙들어 놨는지
저 물건이 꽤 멀쩡한 꼬라지를 하고 저리 서 있다는 건 참 고마운 일이잖아?
저런 물건에까지 공연히 뭉클해지는 사람의 기억이나 감정이란 것이 때로는 참 끔찍하게 여겨지기도 하지만 말이야.
간혹 지나치는 국도변의 휴게실.
그다지 오래 된 것 같지는 않지만 상호나 그림의 구성이 영락없는 60년대식이다.
그런 저런 연유로해서 어쨌거나 언젠가는 꼭 한 번 가보고싶은 곳 중의 하나.
혹시라도 저 간판 귀퉁이의 그림처럼 근사하게 생긴 처자가 무료한 초여름 한 낮
목이 빠져라 날 기다리고 있을지도 알 수 없으니까. 최백호의 노래처럼 궂은 비 추적추적 내리는 날 그야말로 옛날식 다방에서 도라지 위스키 한 잔에 취해서
더우기나 저렇게 입만 열면 하트가 쏟아져 나오는 못견디게 사랑스러운 처자와 함께라면 말이지.
참 구시대스럽기는 하지만 그 깊은 정취가 그다지 살아나지 않는 얄팍해 보이는 그림에다가
윗쪽의 오고파 아가씨에 비해서 그다지 색시해 보이지도 않을뿐더러 나름의 기품도 느껴지지 않고...
게다가 좀 사나워보이기까지 하잖아? 잘 있다가 수 틀리면 홱 틀어질 것 같은 그런...
맞아. 내 타입이 아니야... 하지만 요즘 세상에 어디가서 또 저런 쨍한 이전개업 현수막을 볼 수 있으랴 싶어서 일단은 낙점.
그래도 굳이 읍내의 정다방까지 저 아가씨를 만나러 가고싶은 생각은 그다지 열심이지 않아서
정 다방의 긴머리 아가씨는 다음에 신속 배달로 만나기로 하고 일단은 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