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3리로 들어가는 막다른 길


영양 화매리의 작은 교회

큰 아이를 데려다 주고 오는 길에 삼의 계곡으로 빠져서 만났던 생경한 동네.
내가 본 교회 중 가장 아름다운 각도의 직선을 가진 교회.


인산인해(@@... ) 영덕 시외버스 터미널.


비가 꽤 내린다. 오전 내내 지붕에 꽂히는 빗소리.
제법 소란스러운 소리인데도 빗소리는 시끄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왜 그런지는 궁금하지 않다. 이제는 대부분의 현상들에 대한 호기심이 다 그렇다.

욕실 창문을 열고 내려다 보니 빗줄기가 꽤 제법이다.
우리 집에서 빗소리가 제일 잘 들리는 곳은 욕실이다.

젖은 남새밭이 우중충해 보여서 몇 장 찍어 본다. 며칠만에 카메라를 들어본다.
매사에 무기력증이 스며드는 모양이다.
무기력해지건 무감각해지건 이제는 별로 걱정도 안된다.

 
컴퓨터에 사진을 걸어서 멍하니 보다가 갑자기 카메라를 들고 나섰다.
나섰지만 다 늦은 시각이라 멀리도 못 간다. 앉은뱅이같이 이웃동네만 기웃거린다. 
그 사이 비는 그치고 풍경이 남았다. 

화진리 들어가는 길가에 보리를 심어 두었다. 이제는 보리도 관상용인지.
어쨌든 아직 익지 않은 풋보리가 남아있다. 참 오랜만에 보는 풋보리. 청보리. 고등학교때 아카데미 문집 이름이 풋보리였던가 싶다.
몇 몇 얼굴들이 생각난다. 


화진리를 지나서 월포를 돌아 나가는 길 옆 논두렁에 백로가 앉았다.
해 마다 이 때쯤이면 물 담은 논에 산천이 거꾸로 처박힌다. 
렌즈를 바꾸고 행여나 날아 갈까 조심조심 가까이 다가 가도 꼼짝을 안한다.
하긴 누가 먹을 게 없어서 백로를 잡아 먹지는 않을 것이라, 사람이나 짐승이나 이제는 얼추 서로 길들여지나보다. 


습기 머금은 바람에 홀려서 어슬렁거리다보니 그 새 해가 기우나보다. 
기분이 좀 나아졌다. 나오길 잘했다. 매일 비나 내렸으면 좋겠다. 지붕만 새지 않는다면.
그러게 비 새는 지붕은 언제 고치냐고... 






처음엔 꽤 좋은 느낌이었는데
날이 갈 수록 물에 빠진 채 손에 닿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그런 느낌.
허방을 디디고 떨어지는 꿈처럼.


다시 시작했던 동기는 완전히 소멸된 것인가.

채우려고 애를 써도 이제는 느낌이 오지않는다.
동기가 소멸하면,
그리고 재충전되지 않는다면 동력도 멈추게 되겠지.
내가 그렇게 간절히 기대했던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이었나? 
내가 갖고 싶었던 것은 정말 그만큼이었는데

잃은 것은 지난 겨울 감당하기 힘들만큼 터무니없이 낭비해버린 감정과 시간.
얻은 것은? 

...대체 무슨 생각이었는지.  


아침에 현관을 나서려던 애 엄마가 눈이 빨개져서 뭔 카드를 하나 들고 왔다.
아직 자고 있는 꼬맹이가 깰세라 얼른 보고 제자리에 둬야한다고 수선이다.
 


뭘, 꼬맹이가 스승의 날이라고 선생님에게 쓴 편지구만 뭘 그래.
이 사람도 나이가 들어가나보다. 엊그제는 큰 놈 편지를 보고 울었다더니.

보니, 작년 가을 쯤 폐원하고 다른 곳으로 옮겨 간 피아노 선생님에게 쓴 편지다.
.........
생각보다 많이 자랐구나.
맨날 개구짓이나 하고 철딱서니 없는 놈이라 여겼는데 .

어제 밤에 선생님들한테 줄 선물 만든다고 법석을 떨더니 꽤 예쁘게 만들어놨다.
아마도 그걸 보고 애 엄마가 뭔가 하고 뒤져봤나보다.
그러게 애들 편지나 수첩은 왜 뒤져보고 그러냔 말이지.
......
그래서 또 이런 편지도 보고 가슴팍이 설렁거릴 수도 있지만 말이지....


그 무지개 학원 선생님도 우리집 꼬맹이에게 유난히 각별하긴 했었지만
꼬맹이도 지가 여섯 살 들면서부터였으니 꼬박 삼년 반을 내리 다녔던 피아노 학원이라 정이 많이 들었었나 보다.
헤어진 이후로 별로 말이 없길래 그저 그런가보다 생각에 두질 않았었는데
언제 한 번 짬 내서 그 선생님 보러 다녀와야 할 것 같다.    

.......
그래서 기특하고 대견하냐고?
당연하지.
당연하지만.
그게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야.
큰 놈이 자랄 때도 똑 같이 느꼈던 거지만, 애들이 자라고 점점 생각이 커지고,
그래서 아이들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에 몇 번 감동 받고 하다보면
반드시 그 기쁨의 그늘 아래로 슬그머니 자리 잡는 아쉬움. 그 사이에 아이들은 품을 떠나고 그리고 곧 무릎이 허전해진다는 것.

어느 노래 가사가 그랬었지. 등이 휠 것 같은 삶의 무게라고.
하지만 반드시 괴롭고 힘들어서만 삶의 무게를 느끼는 건 아니야.
기쁨도, 오늘 아침과 같은 생경한 놀라움도,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이 우리에게 던져 주는 생각과 깨달음, 거기에서 느끼는 세월의 무게는 정말.

뭐 그래도 좋은 건 좋은 거지.
머리 끝이 닳고 닳도록 재고 싸우고 궁리하면서 살아 온 날들이 그리 헛되지는 않았더라는 그런 거.
그럭저럭 어디 내 놔도 그리 부끄럽지 않은 놈들로 만들어놨다는 뿌듯함 같은 거.
이것 봐.
그러길래 술은 왜 끊는다고 그러고 말이야.
이런 날은 그저 부부가 마주 앉아서 이런 저런 생각으로 혼곤히 취해보는 것도 참 좋은 일이지 않으냔 말이지. 
 


白丈禪師는 一日不事면 一日不食이라는 계율을 만들고 지킨 선사이다.
어느 날 선사가 밭에 나가 제자들과 일을 하고 있던 중에 갑자기 한 제자가 큰 소리로 웃더니 손을 털고 절로 돌아갔다. 그 모습을 보고 선사는 속으로 크게 기뻐하며 생각했다.

‘장하다! 저 놈이 드디어 진리의 문에 들었구나.’


그날 저녁 선사는 그 제자를 불러 물었다.


“제자야 너는 어떤 도리를 깨쳤길래 그렇게 크게 웃었더냐?”

“.......저는 일을 하던 중 배가 고파 참을 수가 없었는데 그때 마침 밥을 먹으라는 북소리를 듣고 신이 나서 웃었습니다. 그래서 절에 돌아와 밥을 먹었을 뿐입니다.“

선사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밖으로 나가버렸다.



//.........
덕망 높은 선사도 때때로 헛다리를 짚는 모양이다.
나같은 불한당이 그 스승이었다면 속으로 생각하기는 뭘 생각해,
손 털고 일어서는 놈을 그 자리에서 붙잡아서는, 이런 싹수 없는 놈, 일 안하고 어딜 내빼냐...... 대번에 패대기를 쳐버리지.

남의 속내를 짐작한다는 것이 그만큼 어려운 것이며 선문답이라는 것이 갑남을녀, 장삼이사가 쉽게 입에 올릴 수 있는 만만한 것이 아니라는 뜻도 되겠다.
또한, 때때로 선문답이랍시는 글들을 보노라면 그 뜻이 필요 이상으로 심오한 데가 있다.
그렇지.
말 그대로 참 심오하기는 한데, 거기에서 나는 참 궁금한 것이 있다.
도대체 그 사람들은 상대방의 말은 고사하고 지가 하는 말 뜻이라도 제대로 알고 하는 말일까?
아니면 아예 둘 다 제 생각만으로 헛소리를 지껄이면서 남보기에는 그럴싸하게 도통한 시늉만 하고 있든지.

내가 눈 앞에 놓인 밥그릇밖에 못보는 잡놈이라 그런지도 몰라.
아니면 밥그릇 포장하는 기술이 모자라든지.
뭐 어쨌든 바람 먼지 자욱한 이 사바세계에서는 그 놈의 아리송한 선문답은 안봤으면 해서 말이지.
사람이 사람이다보니 살다보면 서로 꼬이기도 하고 뒤틀리기도 하고... 그래서 서로 언성 높이고 삿대질 할 때도 있지. 더러 툭탁거리기도 하고.
그런 때 뒷구멍에 슬그머니 고개 내 밀고는 뭔가 있음직해 보이되
실은 밥도 아니고 막걸리도 아닌 소릴 툭 던져놓고
저 혼자 뒷짐 지고 먼산 보는 사람이 있지.
옆에서 보자하면 참 거시기 하다.


평소에 패싸움은 개싸움이라 치부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그것보다는 차라리 좀 시끄럽더라도 멱살잡이가 낫다.
개새끼 소새끼 눈탱이 밤탱이가 돼도 최소한 사람 냄새는 나거든.
꼭 할 말이 없거나 내공이 딸린다면 입 닥치고 조용히 있어주면 그것으로 좋을 때도 많아.
거룩하거나, 혹은 심오한 선문답은 도사들끼리만 했으면 해서 드리는 말씀이지.
아니면 이 좋은 봄날에 절구경이라도 가서 먼 산 보고 하든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