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할무이, 이거 이름이 뭐다요?’
-‘산나물이라요.’

/‘에고. 산나물인줄은 나도 알지요. 거 이름이라도 알고 묵어야지....’
-‘고만 묵으믄 되지 이름을 알아야 묵능교. 이거는 원추리, 이거는 참나물... 요거는 꽃나물...
아이고 이걸 다 우찌 안대요. 고만 다 산나물이라요.’

/‘이거 할무이가 산에서 캐 오신 거 아입니까?’
-‘맞니더.’

/‘그럼 이름도 모르는데 어떻게 먹는 건지 아닌지 알고 캐요.’
-‘못묵는기 어데 있어요. 봄에 나는 거는 다 묵어요.’

/‘아니, 참, 그래도 독이 있는 것도 있을끼고,
묵어봤자 득도 실도 없는 별 신통찮은 풀들도 마이 있을 거 아이라요?’
-‘참, 아저씨도 벨 소릴 다하요.
독풀은 캐믄 안되제요. 뉘가 사람 죽으라꼬 독풀을 캐요. 크일 나제.’

/‘..........%%$@!^&^**&(!........그러니 독풀인지 아인지 그걸 우째 아냐고요.’
-‘우째 알기는.... 보믄 알제요...’

/‘....@@...... 거 참...그러니까 내 말이,
산비탈 그 많은 풀 중에 독이 있는지 없는지,
몸에 좋은지 안존지, 묵는 긴지 아인지 우째 다 아냐고요....’
-‘그라이께네........ 호메이 하나 들고 산비딱에 가서 요래- 보믄 뷔요.
조거는 묵는 거, 조거는 묵으마 섯바닥이 아리~~ 한 거, 저거는 손발 저릴 때 묵으마 존 약풀....’

/‘...&((())(_%$@#~@......헛, 그거 참..... 그럼 할무이는 이걸 언제 다 배웠어요?’
-‘배우기는 뭘 배와요. 그깐녀러 산나물 배울 꺼나 뭐 있어요. 핵교 가서 높은 공부를 해야제.’

/‘안배우고 이름도 모르는 그 많은 걸 다 우째 알아요?’
-‘촌사람인게 그냥 알제.’

/‘나도 그리 딱 보고 알면 참 좋것그만....’
-아이고 아제씨야. 그거 알아서 어데 쓸라꼬. 고만 장에 오다가다 한번씩 사서 묵어요.
그래야 장에 앉은 할마이들 점심값도 버얼고 그러제요.‘

/‘!!.......’

빼도 박도 못하게 맞는 말씀이라 끽 소리 안하고 이천원어치 한 소쿠리를 사 왔습니다.

역시 세상에는 고수가 많습니다.
그 많은 고수들은 얼굴에 분칠도 안하고 문패도 안 걸고 그리그리 조용히 살다 있는 듯 없는 듯 사라지는데. 그런 고수들이 부럽고 거시기해서 시늉이나 내볼까해도 역시 그거 아무나 하는 거 아닙니다.
神藥으로 유명한 김일훈 선생도 생전에 뉘가 그걸 다 언제 배웠냐고 묻자 툭! 한마디 했답디다.

‘배워서 아나. 나면서 알아야지.’

이런 젠장.... 배워도 소용 없다는데야 야코가 팍 죽어서...
말하자면 生而知之라는 말씀이겠지요.

고수는 도처에 불시로 부단히 존재하거나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매사에 자세를 낮추고 좀 어버버하게 굴어야 낭패를 안당하지요. 대충 둘러보고 어릿하게 잘난 척 하다가는 딱 임자 만나서 이래저래 더듬거리다가 죽도 밥도 막걸리도 아닌 꼬라지로 고만 얼치기 소리나 듣고.....  그런 날은 그만 딱 죽고싶어서 잠도 안옵니다.

내가 사람에 대해 경이롭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산나물 할매의 그것과 같은 자연친화적인 ‘능력’입니다.
땡볕에 밭 매다가 한줄기 바람냄새 딱 맡고는, ‘저녁답에 비오것다.’ 무당같이 중얼거리는 할배라든지, 일기예보는 듣지도 않으면서 방파제에 올라가서 ‘앗따 큰 바람 오것는디.’ 손 끄트머리 침 테테 발라서 이래저래 돌려보는 할배며....

뭐 어쨌든 대충 영감 할마이가 돼서야 얼추 고수의 반열에 드는 모양인데 나도 늙어지면 그리 될라는가요. 어깨 신경통으로 날궂이 알아맞히기같은 그런 얄궂은 거 말고....

아이다.
고만 산나물 할매 말대로 그냥 장에서 사다 묵고 일기예보나 잘 챙겨보고 그래야지.
뭐, 가당찮은 흉내 내쌓다가 비 두들겨 맞고 고뿔하고 그러다 시난고난 갱신도 못하고 어질러질라. 원 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