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중반 쯤 한참 음악에 불붙기 시작했던 어떤 후배 녀석. 어느 날 박하우스의 베토벤 소나타 판때기를 들고 와서는 인상 팍 쓰면서 묻기를,
'형님! 도대체 버투소(virtuoso)가 누구요?'
(아시다시피, virtuoso는 ‘거장적’이라는 뜻입니다. 되는대로 비르투오조라고 읽기는 합니다만. 하기야 어지간한 판 자켓에는 거장적인 연주라는 뜻으로 너도나도 virtuoso 라고 써 놓긴 했었습니다. 피아노도 치고 바이올린도 잘 키고 못하는 것 없던 그 놈의 버투소....)
/처자들 앞에서 있어 보이는 척 하는 데 있어서 고전음악이 꽤 유용한 도구임을 간파한 어떤 만화방 쥔. 뭔가 이야기 끝에,
'나도 어제 드보르(Dvor.....作?) 판 하나 샀는데.'
(Dvořak.... 뭐, 처음 듣는 사람들은 헷갈리기 좋을만한 이름입니다. 드볼작에게 가서 왜 이름을 그딴 식으로 지었냐고 멱살 잡고 따져 볼까요?)
/어느 소 연주회에서 어떤 기타리스트 왈,
'아노니모스(anonymous)의 로망스를 들려 드리겠습니다.'
(anonymous. 작자 미상, 작자 불명이란 뜻으로 쓰입니다. 그날 객석에서는 여기저기 소소한 웃음이 났었습니다만, 뭐 어때요? 연주만 잘 하면 됐지.)
/오래 전 어느 다방에서 어떤 아저씨가 바하 관현악 조곡 중에서 G선상의 아리아를 켜달라는데 판때기 뒤적거리던 디제이 란 놈은 잘난 체 한답시고,
'아저씨. 지 선상의 아리아는 바이올린 곡이라우. 뜬금없이 관현악은 무슨.‘
(G선상의 아리아는 바하 관현악 조곡 3번에 나오는 아리아를 바이올린 독주곡으로 편곡 한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그 놈의 디제이는 바로 납니다. 반풍수.... 좀 들었답시고 시건방이 늘었었지요. 자다가 벌떡 일어나 식은땀이 날 일입니다. 아주 망신살이 뻗쳤습니다.)
/팔십 년대 중반, 모 음대 앞에서 찻집 하고 있을 때 웬 음대생 하나.
'아저씨, 베토벤 영원 교향곡 좀 부탁합니다. 듣고 리포트 써야 되는데.'
(베토벤에게는 ‘영원’이라는 부제가 붙은 교향곡이 없습니다. 교향곡 3번 ‘영웅’은 있습니다. 이 고집 센 친구, 그게 아니라고 말 해 줘도 영원이라고 우기길래 교향곡 전집을 꺼내 놓고 보여주며 혀를 찼던 기억이 있습니다. 대저 음대생이라면 이정도 상식은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았는데.)
/백수 시절 아지트로 삼고 죽치던 어느 지하 찻집에 여대생들 우르르 끌고 와서 한참 장광설 풀던 어떤 음대 교수.
'쇼팽의 첼로 협주곡을 켜 주시오!'
(쇼팽은 첼로 협주곡이 없습니다. 첼로 소나타는 있습니다. 학생들 앞에서 차마 말하기가 민망해서 지금은 그 음반이 없노라고 얼버무리고 넘어 갔습니다만, 그 잘 생긴 음대 교수님, 언제 쯤 실수 했다는 걸 눈치 채셨을라는지.)
‘
우리 시대에 클래식 음악이 가졌던 좀 묘한 스탠스가 던져 준 가벼운 웃음들입니다.
너나 할 것 없이 충분히 그럴 수 있었던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당사자가 되고 보면 등허리에 진땀이 빠질 순간들이었지요. 그저 콩이나 팥이나 모르는 건 모른다고 자복 하고 납작 엎드리는 게 후환을 없애는 길입니다.